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27)
알파고와 이세돌의 바둑 대결 지금 우리나라에서 가장 hot한 issue가 아닐까? 인공지능 알파고와 프로 바둑 구단 이세돌의 대결. 현재까지 스코어는 알파고가 3연승 중이다. 여전히 두 번의 게임이 더 남았지만, 이세돌이 알파고를 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이제 복잡한 사고를 요구하는 분야까지 Machine에게 넘어간 시대가 되었다.하지만, 역사적으로 보면. 우리의 계산 능력은 컴퓨터와 전자 계산기에게 이미 넘어 갔고,속도 면에서도 우리의 능력은 자동차와 비행기에 뒤진지 오래 되었다. 그래도 사람이 우리의 Machine 보다 나은 점은, 우리의 피조물을 가지고 새로운 창조를 할 수 있다는 것이 아닐까? 역사가 이를 말해준다. PS> 4번째 대국에서 이세돌이 이겼네..
Xing API] Real time data subscribe 이베스트 증권에서 제공하는 Xing API로 만든 Real Time data subscribe 예제입니다.
Xing API] Connection and login Python으로 처음 만들어 본 Class이다. Coding Convention에 맞게 작성한지도 몰겠고, OnLogout 같은 delegate은 불려지지도 않고.... 내가 잘못 만든건지, COM에서 제공을 안하는 건지 감이 안온다. 그래서 빼버렸다.
피케티의 21c 자본 중에서... 이 책 한글 번역본도 있지만, 책이 두껍고, 관련 지식도 짧아서, 일본사람이 번역해서 만화로 만든 버전을 읽었다. 그림과 내용이 함께 있으니, 이해는 잘되는 듯... 하지만, 만화가 원본의 내용을 잘 전달했는지는 의문이다. 인터넷에 올라와 있는 원본 서평을 읽어보면, 만화에서 읽었던 내용과는 다소가 거리 있는 내용이 있었다.피케티가 주장하는 바는 '앞으로 부의 분배의 불균형이 심해져서 계층간 격차가 심해질 것이고, 글로벌 자본세(세금) 도입해서 부의 분평등을 맞추어 보자.'라는 니용이다. 하지만, 내머리속에 기억남는 건, r > g 이라는 부등식. 피케티에 따르면, 최근 과거 몇 백년간 경제 성장률(g)이 자본 수익룰(r)을 웃도는 사실이 없다는 것. 다른 말로 하면, 자본 (동산, 부동산)으로 번 수익..
Back to normal 'Pneumonia', a disease makes me suffer for a couple of weeks. It was really painful, but I am Ok now. Actually, there was a positive side effect. I lost my weight around 5 Kg from the disease.However, I don't like to get Pneumonia again.
Code productivity I have emphasized following things to increase code productivity in my team. Code reviewPair programmingUnit TestContinuous IntegrationAutomated TestingEverything really goes well except for Unit Test.
공항 가는 길 비행기를 타기 위해서 아침 일찍부터 버스에 올랐다. 눈이 피곤하고, 목덜미도 묵직하다. 병원에 누워 있는 딸래미를 두고 한동안 자리를 비우려니 마음이 영 편치 않다. 아빠가 10밤 자면 돌아온다고 하니, 아직 시간의 흐름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첫째는 해맑게 웃기만 한다. 그리고, 돌아오는 길에 할로윈 선물을 사오라고 연신 당부를 한다. 가을 아침 공기는 상쾌한데, 마음은 그것을 즐기지 못한다.